원하는 정보를 가져오는 것까지는 성공했으므로 이제 남은 건 그 정보를 표시해주는 것 입니다.
위의 제품을 사용하기로 하고 구매~ 지난 번에 같이 주문했던 것이어서 무사히 잘 받아놓았습니다.
상세스펙을 보니 LCD가 아니고 OLED 였네요. 크흠.. 아무튼 화면도 준비되었으니 테스트 테스트.
판매처에서 제공하는 스펙은 다음과 같습니다.
네 봐도 잘 모르겠네요. 구글에 검색해 봅니다.
이것 저것 찾다보니 다음의 사이트에서 도움을 받았습니다.
https://diy-project.tistory.com/6
이것처럼 연결을 하라고 하네요.
OLED의 GND는 당연히 WeMos의 GND와 연결하고,
OLED의 VCC는 스펙상 3.3V~5V까지 가능하니 일단 WeMos의 5V와 연결하고,
OLED의 SCL은 WeMos D1 mini의 데이터시트를 참고해서 D1에 연결하고,
마찬가지로 SDA도 데이터시트 참고하면 D2에 연결하라고 나옵니다.
fritzing을 이용해서 회로도를 그려본 후
실제론 납땜이 안되어 있어서 다음과 같이 연결한 후 테스트를 해 봅니다.
ssd1306 OLED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Adafruit Gfx 라이브러리와 Adafruit SSD1306 라이브러리가 필요하다고 합니다.
스케치의 라이브러리 매니저를 통해서 해당 라이브러리를 추가해 줍니다.
그리고 예제 중에서 Adafruit_SSD1306 > ssd1306_128x64_i2c 예제를 업로드 해 보았습니다.
.... 안되네요. 다음의 간단한 예제로 바꿔 봐도 안됩니다.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| #include <Adafruit_GFX.h> #include <Adafruit_SSD1306.h> #define OLED_RESET 0 // GPIO0 Adafruit_SSD1306 OLED(OLED_RESET); void setup() { OLED.begin(); OLED.clearDisplay(); //Add stuff into the 'display buffer' OLED.setTextWrap(false); OLED.setTextSize(1); OLED.setTextColor(WHITE); OLED.setCursor(0,0); OLED.println("automatedhome.party"); OLED.display(); //output 'display buffer' to screen OLED.startscrollleft(0x00, 0x0F); //make display scroll } void loop() { } | cs |
음.. 아마도 납땜을 안해줘서 그런게 아닌가 싶네요. 일단 여기서 멈추고 남땜을 해준 다음에 해봐야겠습니다.
'아두이노 작품 만들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미세먼지 표시기 만들기 Part 6 (완성) (0) | 2019.04.08 |
---|---|
미세먼지 표시기 만들기 Part 5 (0) | 2019.04.04 |
미세먼지 표시기 만들기 Part 3 (0) | 2019.03.27 |
자율주행 자동차 만들기 Part 1 (0) | 2019.03.08 |
미세먼지 표시기 만들기 Part 2 (0) | 2019.02.25 |